초등학교 5학년 때, 나는 지방의 한 작은 소도시에 살았다.
책을 많이 읽기는 했지만, 집도 여유가 없는데다 특별한 꿈도 없던 시절이었다.
그러다 우연히 시내 모든 초등학교가 참여하는 백일장에 나갔다가 뜻밖에도 장원을 하게 되었다. 그렇게 큰 상을 받게 되어 무척 자랑스러웠지만, 무엇보다 기뻤던 건 선생님의 칭찬이었다.
“정말 좋은 재주를 가졌구나. 넌 글쓰기에 훌륭한 재능이 있는 것 같아. 열심히 해라. 꼭 훌륭한 작가가 될 거야.”
그때 선생님은 나를 두고 양재(良才)라고 하셨다. 처음에는 그 뜻을 잘 몰라서 아버지에게 여쭈어보았더니, 좋은 재주가 있다는, 좋은 인물이 된다는 뜻이라고 말씀하셨다.
선생님의 그 한마디는 내 삶을 결정짓는 귀하고 잊을 수 없는 칭찬이었다. 처음으로 나는 내 자신이 꽤 괜찮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. 나도 잘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, 글 쓰는 사람이 되겠다는 꿈도 갖게 되었다. 칭찬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를 몸소 체험한 것이다.
칭찬은 숨바꼭질, 보물찾기와 같다. 되도록 눈을 크게 뜨고, 바싹 다가가야 찾을 수 있다. 진심과 사랑이 담긴 따뜻한 눈으로 봐야 비로소 보이는 것이다. 또한 때를 놓치면 하기가 쉽지 않다.
인간은 너나 할 것 없이, 격려와 칭찬의 힘으로 먹고 자라난다. 칭찬은 사람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. 실수와 잘못과 허물로 범벅이 된 일생일지라도 진정으로 그 사람의 장점과 가능성을 믿고 칭찬하고 응원해주는 이가 있다면 한 사람을 살리는 기적을 이룰 수 있다.
지금 당신도 누군가를 살릴 수 있다.
칭찬해 주고, 응원해 주어라.
- 잠깐 멈춤(고도원, 해냄) 중에서 -
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지치기 마련입니다. 그것은 자신의 잘못 때문일 수도, 주변의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일 수도, 어쩌면 단순히 운이 나빠서일 수도 있습니다. 그럴 때에는 충고나 조언처럼 올바른 쓴 소리 보다 칭찬과 격려 같은 달콤한 말이 상대방에게 더 힘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.
칭찬의 가장 큰 힘은 사람을 긍정적으로 만든다는 데 있습니다.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분명 상대방은 스스로의 우울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.
책을 많이 읽기는 했지만, 집도 여유가 없는데다 특별한 꿈도 없던 시절이었다.
그러다 우연히 시내 모든 초등학교가 참여하는 백일장에 나갔다가 뜻밖에도 장원을 하게 되었다. 그렇게 큰 상을 받게 되어 무척 자랑스러웠지만, 무엇보다 기뻤던 건 선생님의 칭찬이었다.
“정말 좋은 재주를 가졌구나. 넌 글쓰기에 훌륭한 재능이 있는 것 같아. 열심히 해라. 꼭 훌륭한 작가가 될 거야.”
그때 선생님은 나를 두고 양재(良才)라고 하셨다. 처음에는 그 뜻을 잘 몰라서 아버지에게 여쭈어보았더니, 좋은 재주가 있다는, 좋은 인물이 된다는 뜻이라고 말씀하셨다.
선생님의 그 한마디는 내 삶을 결정짓는 귀하고 잊을 수 없는 칭찬이었다. 처음으로 나는 내 자신이 꽤 괜찮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. 나도 잘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, 글 쓰는 사람이 되겠다는 꿈도 갖게 되었다. 칭찬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를 몸소 체험한 것이다.
칭찬은 숨바꼭질, 보물찾기와 같다. 되도록 눈을 크게 뜨고, 바싹 다가가야 찾을 수 있다. 진심과 사랑이 담긴 따뜻한 눈으로 봐야 비로소 보이는 것이다. 또한 때를 놓치면 하기가 쉽지 않다.
인간은 너나 할 것 없이, 격려와 칭찬의 힘으로 먹고 자라난다. 칭찬은 사람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. 실수와 잘못과 허물로 범벅이 된 일생일지라도 진정으로 그 사람의 장점과 가능성을 믿고 칭찬하고 응원해주는 이가 있다면 한 사람을 살리는 기적을 이룰 수 있다.
지금 당신도 누군가를 살릴 수 있다.
칭찬해 주고, 응원해 주어라.
- 잠깐 멈춤(고도원, 해냄) 중에서 -
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지치기 마련입니다. 그것은 자신의 잘못 때문일 수도, 주변의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일 수도, 어쩌면 단순히 운이 나빠서일 수도 있습니다. 그럴 때에는 충고나 조언처럼 올바른 쓴 소리 보다 칭찬과 격려 같은 달콤한 말이 상대방에게 더 힘이 되어줄 수 있습니다.
칭찬의 가장 큰 힘은 사람을 긍정적으로 만든다는 데 있습니다.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분명 상대방은 스스로의 우울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.